마태 22:1-14
예수께서 또 비유를 들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어느 임금이 자기 아들의 혼인 잔치를 베푼 것에 비길 수 있다. 임금이 종들을 보내어 잔치에 초청받은 사람들을 불렀으나 오려 하지 않았다.
그래서 다른 종들을 보내면서 ‘초청을 받은 사람들에게가서 이제 잔칫상도 차려 놓고 소와 살진 짐승도 잡아 모든 준비를 다 갖추었으니 어서 잔치에 오라고 하여라.’ 하고 일렀다. 그러나 초청받은 사람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어떤 사람은 밭으로 가고 어떤 사람은 장사하러 가고 또 어떤 사람들은 그 종들을 붙잡아 때려 주기도 하고 죽이기도 했다.
그래서 임금은 몹시 노하여 군대를 풀어서 그 살인자들을 잡아 죽이고 그들의 동네를 불살라 버렸다. 그리고 나서 종들에게 ‘혼인 잔치는 준비되었지만 전에 초청받은 자들은 그만한 자 격이 없는 자들이었다. 그러니 너희는 거리에 나가서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청해 오너라.’ 하고 말하였다. 그래서 종들은 거리에 나가 나쁜 사람 좋은 사람 할 것 없이 만나는 대로 다 데려 왔다.
그리하여 잔칫집은 손님으로 가득 찼다. 임금이 손님들을 보러 들어 갔더니 예복을 입지 않은 사람이 하나 있었다. 그를 보고 ‘예복도 입지 않고 어떻게 여기 들어 왔소?’ 하고 물었다. 그는 할 말이 없었다. 그러자 임금이 하인들에게 ‘이 사람의 손발을 묶어 바깥 어두운데 내어 쫓아라. 거기서 가슴을 치며 통곡할 것이다.’ 하고 말하였다.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히는 사람은 적다.’
# 오늘의 묵상: 초대와 기다림
누군가를 초대하려면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그 사람의 성품과 취향, 관심사도 알아야 합니다.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대접해야 하는지도 생각합니다. 그러니 초대하는 입장에선 세심한 준비와 배려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고심하며 초대했는데 거절을 당하면 얼마나 실망이 큰지요. 그럼에도 주인은 더 많은 음식과 완전한 준비로 다시 초대를 시도합니다.
그렇게 정성을 들이는데도 이 핑계 저 핑계로 오지 않는 사람들. 하던 일을 마무리 하고, 장례를 치르고, 작별 인사를 하고 오겠다며 머뭇거리는 그들입니다.
우리도 새로운 신자들을 인도하다 보면 경험하게 되는 말씀입니다. 우리 교회에 처음 들른 방문객에게 성공회를 설명하고 성당 이곳저곳을 함께 동행하며 친절하게 소개하는 일은 부담 없이 즐거운 일입니다.
그러나 보증인이 되는 관계에서 그 친구가 성당에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엄청 신경이 쓰이고 걱정됩니다. 일정이 어긋나 만나지 못한 건지 어디 아파 못 나온 건지 혹시라도 실망하게 되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동안 나의 태도나 모습 속에 잘못은 없었는지 자신을 돌아보며 자책하게 됩니다.
그 친구가 우리 서로는 완벽할 수 없는 피조물임을 이해하길 바라고 서로의 모자람을 사랑으로 채워주는 관계임을 깨닫길 기도합니다. 신앙은 열정과 열심만으로 이루어지는 일이 아님을 시간이 오래될수록 더더욱 깨닫게 됩니다.
하느님께서 주시는 지혜와 사랑이 우리의 마음 안에 스며들고 하느님을 경외하는 신앙심이 두툼하게 쌓이면서 좋은 열매가 싹 트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심겨진 씨앗은 좋은 환경이 중요하지만, 일정 기간 기다림의 시간이 꼭 필요합니다. 하느님과의 시간이겠지요. 좀 더 부드럽고 건강한 텃밭의 제가 되길 희망합니다.
# 오늘의 기도
부족한 제가 이제라도 건강한 믿음의 싹을 틔우는 신앙인으로 거듭나길 기도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