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가 7:36-50
예수께서 어떤 바리사이파 사람의 초대를 받으시고 그의 집에 들어가 음식을 잡수시게 되었다. 마침 그 동네에는 행실이 나쁜 여자가 하나 살고 있었는데 그 여자는 예수께서 그 바리사이파 사람의 집에서 음식을 잡수신다는 것을 알고 향유가 든 옥합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 예수 뒤에 와서 발치에 서서 울며 눈물로 그 발을 적시었다. 그리고 자기 머리카락으로 닦고 나서 발에 입맞추며 향유를 부어드렸다.
예수를 초대한 바리사이파 사람이 이것을 보고 속으로 “저 사람이 정말 예언자라면 자기 발에 손을 대는 저 여자가 어떤 여자며 얼마나 행실이 나쁜 여자인지 알았을 텐데!” 하고 중얼거렸다. ...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어떤 돈놀이꾼에게 빚을 진 사람 둘이 있었다. 한 사람은 오백 데나리온을 빚졌고 또 한 사람은 오십 데나리온을 빚졌다. 이 두 사람이 다 빚을 갚을 힘이 없었기 때문에 돈놀이꾼은 그들의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그러면 그 두 사람 중에 누가 더 그를 사랑하겠느냐?”
시몬은 “더 많은 빚을 탕감받은 사람이겠지요.” 하였다. 예수께서는 “옳은 생각이다.” 하시고 그 여자를 돌아보시며 시몬에게 말씀을 계속하셨다. “이 여자를 보아라. 내가 네 집에 들어 왔을 때 너는 나에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머리카락으로 내 발을 닦아주었다. 너는 내 얼굴에도 입맞추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내가 들어왔을 때부터 줄곧 내 발에 입맞추고 있다.
너는 내 머리에 기름을 발라주지 않았지만 이 여자는 내 발에 향유를 발라주었다. 잘 들어두어라. 이 여자는 이토록 극진한 사랑을 보였으니 그만큼 많은 죄를 용서받았다. 적게 용서받은 사람은 적게 사랑한다.” 그리고 예수께서는 그 여자에게 “네 죄는 용서받았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예수와 한 식탁에 앉아 있던 사람들이 속으로 “저 사람이 누구인데 죄까지 용서해 준다고 하는가?” 하고 수군거렸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 여자에게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평안히 가거라.” 하고 말씀하셨다.
# 오늘의 묵상: 예수님을 향한 지극한 사랑
오늘 본문을 보면서 여인의 용기에 대해 묵상하게 됩니다. 동네에서는 이미 행실이 나쁜 여자라는 평판을 듣고 있었고, 그런 상태에서 많은 사람의 이목을 끄는 행동을 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여인을 따라 이 상황에 함께 머물러 보니 사람들의 수군거림과 따가운 시선이 느껴지는 듯합니다. 여인도 온몸으로 이 모든 것을 느꼈을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상황과 상관없이 예수님께 나아갈 수 있었을까요?
여인은 자신의 빚, 즉 자신의 죄의 무게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자신의 죄는 오십 데나리온이 아닌 오백 데나리온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데나리온이 대략 농장 일꾼의 하루 품삯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오십 데나리온도 적은 돈은 아닙니다. 하지만 오십 데나리온을 빚진 자로 비유되는 바리사이파 시몬은 자신의 죄의 무게를 실제보다 훨씬 가볍게 인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신의 죄에 대해 가볍게 여기는 태도는 예수님에 대한 경외함이 없는 무례한 태도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여인의 행동은 주변의 오해를 불러일으킬지언정 예수님이 ‘극진한 사랑’이라는 표현으로 칭찬하십니다. 자신의 죄에 대한 정확한 깨달음, 하지만 거기서 머물지 않고 그분의 용서와 사랑을 향해 나아가는 용기, 예수님의 사랑 앞에 자신의 소중한 것을 아낌없이 드리는 헌신. 이 모든 것이 그녀의 사회적 평판과 완전히 다른 예수님의 새로운 평가를 받게 합니다.
여인의 모습에 비추어 저에게도 동일한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나는 죄의 무게를 잘 알고 있는가, 이 죄를 용서하시는 예수님의 자비의 지경과 깊이를 잘 알고 있는가. 거룩하신 그분께 두려움과 경외함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이 의미를 조금씩 더 알아가면서 저 역시 주님께 지극한 사랑으로 반응할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합니다.
# 오늘의 기도
주님, 주님의 자비가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님을 깨닫게 하시고, 그에 합당한 지극한 사랑으로 제가 응답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